본문 바로가기
U.C0079~0083/MS08소대

압사라스1,2,3

by 샤즈나블 2006. 1. 16.

 

 

[압사라스1]

지온공국군은 1년전쟁 초 연방군 본부인 자브로에 코로니를 떨어뜨리는 '브리티쉬 작전'의 실패로 쟈브로를 공격할 다른 방법을 찾기로 결정했습니다. 당시 기니아스 사할린이 진행했던 '압사라스 개발계획'은 그 계획들중에서 가장 실현가능성이 있어 보였습니다. 그것은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으로 움직이는 대기권과 우주에서 동시에 항행가능한 모빌아마로 위성궤도에서 자브로에 접근해 높은고도에서 바윗덩어리들로 보호되고 있는 자브로의 입구를 커다란 메가입자포로 공격한다는 작전이었습니다.

첫번째 압사라스는 지온의 동남아시아모빌슈트 공장에서 기니아스의 지휘아래 제작되었으며 그의 여동생인 아이나 사할린은 압사라스의 테스트 파일럿으로서 프로젝트를 돕고 있었습니다. MS-06 자쿠2의 파츠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압사라스는 강력한 제네레이터를 사용하여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을 가동함으로서 높은 고도에서 빠른 속도로 비행이 가능했었습니다. 그러나 대기권내에서 비행을 하기에는 출력이 다소 부족하였었습니다. 압사라스 I은 대기권 비행을 위한 시험제작기였기 때문에 무장은 없었지만,이 기체의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은 방어무기로 쓸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에너지 펄스를 갖고 있었습니다. 이 첫번째 압사라스는 적진영에서의 비행테스트중에 반파되지만 곧이어 두번째 기체인 압사라스2가 제작되었습니다. 이 두기체의 데이터와 압사라스 2의 파츠대부분은 압사라스 시리즈의 마지막 기체인 압사라스3의 제작에도 사용되어졌습니다.

 

모델 넘버 : 없음
코드명 : 아프사라스 I
기체 타입 : 거점 공격 실험용 MA
제작 : 지온공국군
소속 : 지온공국군
최초 배치 : UC 0079
조종 : 몸체 안의 2인승 표준형 콕피트에 파일럿과 부파일럿 각 1명
크기 : 모름
무게 : 모름
Power : 미노프스키 타입 초밀도 핵융합 발전기, 출력 1,400 kW
추진 :
 로켓 추력 출력량 모름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장치 출력량 모름
기타 장치 : 센서 (감지거리 모름)
고정 무장 :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 에너지 펄스


[압사라스2]

먼저 제작된 압사라스 I과 기본설계가 동일하게 제작된 기니아스 사할린의 압사라스 II의 특징은 완성되어 대기권 비행이 훨씬 안정된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이다. 거기에 두꺼운 암반층을 박살내는 극강의 메가입자포가 더해졌다. 기니아스 사할린의 여동생인 아이나 사할린이 다시 조종대를 잡은 압사라스 II는 동남 아시아에 위치한 지온군 실험지에서 실험 비행을 하게 되었다. 실험 비행에대한 정보가 지구연방군에 도달했을때, 지구연방군 소속의 모빌슈츠 08 소대는 새로운 모빌웨폰의 포획 또는 파괴의 임무를 받고 조사를 위해 파견되었다. UC0079년 11월 9일. 08 소대는 지온군이 주둔한 돌산(quarry)를 발견했고 압사라스 II는 전투중에 큰 손상을 입고 히말라야 산에 처박혔다. 아아니 사할린은 간신히 살아남았고 압사라스는 연방군의 손에 넘어갈 것이 우려되었기 때문에 파괴되었다. 그 후에 수거된 압사라스 II의 파츠와 압사라스 I의 파츠를 사용하여 압사라스 III가 완성되었다.

 

모델 넘버 : 없음
코드명 : 아프사라스 II
기체 타입 : 거점 공격 실험용 MA
제작 : 지온공국군
소속 : 지온공국군
최초 배치 : UC 0079
엔진 : 미노프스키 타입 초밀도 핵융합 발전기, 출력 1,400 kW
추력 :
 로켓 추력 출력량 모름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장치 출력량 모름
기타 장치 : 센서 (감지거리 모름)
고정 무장 : 메가입자포 X 1

                                                             [압사라스3]

압사라스I과 압사라스 II실험 비행과 전투비행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된 후에, 기니아스 사할린은 자신의 꿈인 프로젝트의 완성해냈다. 압사라스 시리즈의 최종 완성형인 압사라스 III는 1년전쟁 동안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기니아스의 모빌 슈츠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종래의 문제였던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 가동을 위한 제네레이터 출력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압사라스 II는 MS-09RII 릭돔 II의 제네레이터를 무려 세개나 장착하였다. 거기다가 대기권에서의 안정적인 비행을 위해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도 한개가 아닌 두개를 달아버렸다. 이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시스템 모듈은 지상에서 주포를 사용할때 모빌아머를 고정시키기위한 거대하고 길쭉한 다리에 장착되어있다. 그러나 이런 강력한 병기가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압사라스 III는 자브로공략에 사용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압사라스 III에 대한 정보가 전해들은 지구연방군 정보부와 코지마 대대가 압사라스 III가 동남아시아를 떠나기 전에 박살내버렸기때문이었다.MAHQ기체설명(http://www.gundamroom.com/)

 

모델 넘버 : 없음
코드명 : 아프사라스 III
기체 타입 : 거점 공격용 MA
제작 : 지온공국군
소속 : 지온공국군
최초 배치 : UC 0079
조종 : 몸체 안의 2인승 표준형 콕피트에 파일럿과 부파일럿 각 1명
크기 : 모름
무게 : 모름
Power : 미노프스키 타입 초밀도 핵융합 발전기 X 3, 각 출력 1,220 kW(총 3,660 kW)
추진 :
 로켓 추력 출력량 모름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장치 X 2 (출력량 모름)
기타 장치 : 센서 (감지거리 3,200 m)
고정 무장 : 메가입자포

 

출처:http://www.gundamworld.net/    

'U.C0079~0083 > MS08소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X-79BD-1,2,3블루데스티니1,2,3호기  (0) 2006.03.25
MS-06JC자쿠II  (0) 2006.03.21
RX-79Ez-8건담Ez-8  (0) 2006.01.18
RX-79G육전형건담  (0) 2006.01.15
MS-07B3구프커스텀  (0) 200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