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C0079~0083/MS 이글루

자쿠II프로펠런트유닛

by 샤즈나블 2008. 1. 31.

[클릭시커짐] 

[클릭시커짐] 

[클릭시커짐]

[클릭시커짐] 

 

모든병기에 있어 공격력이나 방어력외에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항속거리와 운용시간이었습니다.이것은 MS역시 마찮가지였는데 사상처음으로 MS를 개발한 지온군도 그 점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지온군은 개전전부터 이 점에 대해 연구해왔고 그 결과 시작형으로 개발된 것이 바로 이 자쿠II용시작형프로펠런트탱크였습니다.

 

이 유닛이 자쿠II용이 된 것은 당시 자쿠II의 높은 범용성과 대량배치가 예정된 기체였기 때문인데,각지의 전선으로 배치가 예정된 자쿠II에는 다양한 성능(원거리침공작전,광역초계임무등)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하지만 자쿠II에 탑재된 프로펠런트의 총량으론 그만한 임무를 달성하기는 불가능했습니다.이런 이유로 프로펠런트의 외장형개발안이 대두되고,결국 시작형 한기가 개발되었습니다. 

 

이 유닛에 의해 자쿠II의 항속거리나 운용시간은 대폭 상승되며,작전행동반경이 기존에 비해 약 6배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상반신을 뒤덮은 프로펠런트탱크로 인해 기체의 운동성은 현저하게 줄어들었습니다.더불어 총6기의 탱크로부터 균일하게 연료를 소비하기에 시스템구축에도 문제가 있었습니다.추진제가 균일하게 소비되면 기체의 밸런스를 악화시킬 뿐만아니라 기동성이나 운동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했습니다.

 

이 외에도 프로펠런트자체의 구조나 강도에도 문제가 있었습니다.MS는 항공기와 달리 AMBAC등을 이용해서 복잡한 행동을 취하는 병기였으며 그것은 MS의 특징이기도 했습니다. 복잡한 행동을 취할수록 외부기기는  큰 부담을 받을수밖에 없는데 이런점에서 프로펠런트탱크의 강도는 미지수였습니다.

 

이런 단점등으로 이 유닛은 시작기만이 개발되는데 그치고 말았습니다.하지만 기동병기에 응용,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확립되지 않았던 이 당시와는 달리 전쟁후기에 가서는 겔구구릭돔을 중심으로 프로펠런트탱크들을 장착한 기체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이것으로 미루어보아 이 시작형프로펠런트탱크로 길러진 기술이 단기간만에 실용화될 수 있도록 완성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미지출처:http://www.bandaivisual.us/igloo/ 

                MS이글루설정집(염세주의님배포)에서 발췌,편집  

'U.C0079~0083 > MS 이글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이글루[지온군소형메카닉]  (0) 2008.02.02
YOP-04발로르  (0) 2008.02.01
MS이글루[지온군주력MS]  (0) 2008.01.29
QEX-04M에기르  (0) 2008.01.28
코어부스터II인터셉트형  (0) 2008.01.26